한국 지원사업/청년취업지원사업

대구 청년사회진입활동지원사업 – 상담과 지원을 통한 든든한 첫걸음

ideas02171116 2025. 9. 18. 08:24

1. 들어가며

대구에 거주하는 청년들 중에는 대학 졸업 이후 취업 준비를 시작했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아. 단순히 돈의 문제가 아니라, 진로 탐색·취업 전략·자신감 회복이 필요한 상황이지. 이런 청년들을 위해 대구시는 청년사회진입활동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어. 특히 상담연결형 프로그램은 청년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진로 방향을 제시하고, 실제 구직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응원카드 포인트까지 지급해 주는 맞춤형 제도야.


2. 제도의 개요

  • 사업명: 청년사회진입활동지원사업
  • 운영 주체: 대구광역시, 대구청년센터
  • 대상 연령: 만 19세~39세, 주민등록상 대구 거주 청년
  • 목적: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에게 맞춤형 상담과 경제적 지원 제공

즉, “단순히 돈을 주는 복지”가 아니라, 청년이 스스로 진로를 찾고 사회 진입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성장형 지원제도라고 할 수 있어.


3. 상담연결형 프로그램이란?

상담연결형은 이름 그대로, 전문 상담을 통해 청년에게 필요한 지원을 연결해 주는 방식이야.

  1. 청년이 프로그램에 신청
  2. 1:1 상담을 통해 현재 상황과 고민 파악
  3. 진로 설계, 취업 전략, 교육·훈련 프로그램 등 맞춤형 연결
  4. 상담 참여를 완료하면 응원카드 포인트 지급(30만 원, 1회 한정)

상담만 받고 끝나는 게 아니라, 실제로 이후 단계에서 취업지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청년수당 등 다양한 제도와 연계된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야.


4. 지원 내용

① 경제적 지원

  • 상담 완료 후 “청년응원카드”에 30만 원 포인트 지급
  • 교통비, 식비, 취업 관련 활동비 등 자유롭게 사용 가능

② 맞춤형 상담

  • 진로 탐색: 적성·관심사 분석, 직무 추천
  • 이력서·자기소개서 첨삭
  • 면접 준비 및 이미지 메이킹
  • 취업 활동 중 겪는 심리적 부담 완화 상담

③ 연계 프로그램

  • 대구 청년수당(진로탐색형), 취트키 프로그램, 대구형 일자리사업 등
  • 필요에 따라 직업훈련·창업지원과도 연결 가능

5. 실제 사례

  • A씨(26세, 대구 북구): 졸업 후 여러 번 취업에 실패하며 자신감을 잃었지만, 상담연결형을 통해 진로 컨설팅과 모의면접을 받고, 이후 중소기업에 입사 성공.
  • B씨(24세, 대학 졸업예정자): 어떤 직무를 선택해야 할지 몰라 고민했는데, 상담을 통해 적성검사를 받고 콘텐츠 기획 분야로 방향을 잡아 인턴십 참여.
  • C씨(29세, 경력단절 청년): 육아로 공백기가 있었지만 상담 과정에서 재취업 경로를 설계하고, 관련 교육과정을 연계받아 복귀 준비 중.

6. 장점과 한계

장점

  • 상담을 통해 개인 맞춤형 지원 제공
  • 단순 금전적 지원이 아닌, 진로 탐색+경제 지원을 결합
  • 연계 가능한 프로그램이 많아 활용도 높음

한계

  • 응원카드 지원은 1회 30만 원 한정 → 장기적인 금전 지원은 부족
  • 상담 일정 예약이 몰리면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음
  • 상담 후 연결된 프로그램 참여 여부는 본인의 적극성에 달림

7. 앞으로의 개선 방향

  • 응원카드 지원을 단발성이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분할 지원하는 방식 검토
  • 상담 후 “사후 관리” 강화 → 멘토링, 후속 프로그램 참여율 제고 필요
  • 온라인 상담 시스템 도입 → 접근성 향상, 대기 시간 단축

8. 맺음말

대구 청년사회진입활동지원사업은 막막한 청년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하는 제도야.
특히 상담연결형은 “내가 지금 어디에 서 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를 함께 고민해 주는 프로그램이자, 취업 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경제적 지원까지 제공하지.

대구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지금 막막함을 혼자 끌어안지 말고 꼭 이 제도를 활용해 보자. 작은 상담과 지원이 당신의 진로를 바꾸는 결정적 계기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