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원사업/청년취업지원사업

세종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기업과 청년이 함께 성장하는 지원제도

ideas02171116 2025. 9. 20. 22:20

1. 들어가며

청년 구직자들은 “경험 부족” 때문에 취업 기회를 얻기 어렵고, 중소기업은 인재 확보와 고용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
세종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이 제도는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기업에 인건비 일부를 지원하면서, 청년에게는 장기 근속을 유도하는 구조야. 청년과 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상생형 정책이지.


2. 사업 개요

  • 사업명: 세종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운영 주체: 세종특별자치시, 고용노동부
  • 대상 연령: 만 15세~34세 청년 (군필자의 경우 만 39세까지 가능)
  • 목적: 청년의 정규직 고용 확대와 기업의 인건비 부담 완화

3. 지원 대상 조건

청년 요건

  • 만 15세~34세 미취업 청년
  • 세종시 거주자 우선 선발
  • 정규직 채용 후 고용 유지 가능자

기업 요건

  • 세종시 소재 중소기업·중견기업
  • 고용보험, 4대 보험 가입 기업
  • 유흥·사행성 업종, 불법 사업장은 제외

4. 지원 내용

① 기업 지원금

  • 청년 1인당 연 최대 720만 원 지원
  • 고용 유지 조건(6개월 이상 근속) 충족 시 분기별 지급

② 청년 고용 촉진

  • 기업이 인건비 부담을 줄여 청년 정규직 채용에 적극 나설 수 있음
  • 청년에게는 장기 근속 기회 제공

③ 연계 지원

  • 청년내일채움공제 등과 병행 가능 → 목돈 마련 + 장려금 이중 혜택

5. 운영 절차

  1. 기업 신청 (세종시·고용노동부 시스템)
  2. 참여 기업 심사 및 승인
  3. 청년 채용 및 근로계약 체결
  4. 일정 근속 확인 후 기업에 장려금 지급
  5. 사후 관리: 청년 장기 근속 및 추가 지원 연계

6. 실제 사례

  • A기업(IT 스타트업): 신입 청년 2명을 정규직 채용, 장려금 지원으로 인건비 절감 → 연구개발에 더 많은 투자 가능.
  • B씨(25세, 세종 거주 청년): 장기간 구직 중이었으나 도약장려금을 통해 채용된 후, 1년간 근속하며 안정적 직장 생활 시작.
  • C기업(제조업체): 장려금 덕분에 청년 채용 부담이 줄어 인력난 해소 → 청년 정규직 전환율 80% 달성.

7. 장점과 한계

장점

  • 기업 인건비 절감 → 청년 채용 활성화
  • 청년에게는 정규직 일자리 기회 확대
  • 장기 근속 유도 → 청년 안정적 커리어 형성

한계

  • 지원 조건 충족 못하면 장려금 지급 불가
  • 일부 기업은 장려금 종료 후 청년 고용 유지에 소극적일 수 있음
  • 청년과 기업 매칭 과정에서 업종·직무 불일치 발생 가능

8. 앞으로의 개선 방향

  • 지원 기간 확대 → 기업의 고용 안정성 강화
  • 장려금 외에도 직무 교육·멘토링 패키지 연계
  • 청년-기업 매칭 플랫폼 개선 → 적합한 인재와 기업 연결 강화

9. 맺음말

세종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청년에게는 정규직 취업 기회, 기업에는 인건비 절감 효과, 지역에는 청년 정착이라는 선순환을 만들어주는 제도야.
세종시에 거주하거나 세종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이라면, 이 제도를 활용해 안정적인 첫 직장과 미래 설계의 기반을 마련해 보자.